'반달가슴곰 방사' 21년, 83% 야생…"서식지 확대해야" / SBS 8뉴스

시사 정치 뉴스


시사 정치 경제 뉴스 토론 모음

'반달가슴곰 방사' 21년, 83% 야생…"서식지 확대해야" / SBS 8뉴스

오피파라다이스
'반달가슴곰 방사' 21년, 83% 야생…"서식지 확대해야" / SBS 8뉴스
〈앵커〉올봄 지리산에서 멸종위기종 1급인 반달가슴곰 새끼 2마리가 태어났습니다. 반달가슴곰을 처음 지리산에 풀어놓은 지 20년이 지난 지금 야생 반달곰 수는 전체의 80%를 넘어섰는데요. 서식지를 더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이용식 기자가 지리산 현장을 취재했습니다.〈기자〉반달가슴곰이 숲길을 어슬렁거리며 지나갑니다.드럼통으로 만든 포획틀 위에 올라가 놀기도 하고, 통 안에 머리를 넣었다 빼며 포획을 회피할 만큼 영리한 행동도 합니다.반달곰 추적 관리를 위한 무인카메라에 찍힌 건데, 지난 5월엔 새 생명의 모습도 포착됐습니다.동면 굴에서 새끼 반달곰 2마리가 어미와 함께 얼굴을 내밀었습니다.환경부가 반달곰 복원을 위해 지난 2004년 처음 방사한 뒤 5년이 지나면서 해마다 새끼 곰이 태어나 현재 지리산에 서식하는 곰 95마리 중 83%인 79마리가 야생에서 태어난 곰입니다.방사한 곰 51마리를 훌쩍 뛰어넘었습니다.[정우진/국립공원공단 남부보전센터장 : 안정적으로 개체군이 증가한 상태고, 유전자 기술을 활용해서 반달가슴곰 가계도도 구축해 놓은 상태입니다.]국립공원공단은 포획틀 200여 개를 설치해 출생 개체 확인과 위치 추적용 발신기 부착을 하고 있습니다.포획틀 안에는 반달곰을 유인하기 위해 꿀과 참외 같은 먹이를 넣어두게 되는데 반달곰이 통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이 철문이 자동으로 닫혀 포획 가능하게 됩니다.지난해에도 22마리를 포획해 풀어줬는데, 출생이 처음 확인된 곰은 5마리였습니다.반달곰은 지리산을 벗어나 덕유산에도 3마리가 살고 있습니다.지리산 권역 복원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된 만큼, 전문가들은 설악산 쪽에도 반달곰을 방사해 백두대간 전체로 서식지를 넓혀야 한다고 지적합니다.(영상취재 : 김민철, 화면제공 : 국립공원공단)☞더 자세한 정보https://news.sbs.co.kr/y/?id=N1008219855 #지리산 #멸종위기종 #반달가슴곰 #출산 #지리산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https://premium.sbs.co.kr▶SBS 뉴스 라이브 : https://n.sbs.co.kr/youtubeLive , https://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홈페이지: https://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https://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sbs8news 이메일: [email protected]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https://news.sbs.co.kr/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sbs8news X: https://x.com/sbs8news카카오톡: https://pf.kakao.com/_ewsdq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bsnewsThread: https://www.threads.com/@sbsnews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0 Comments
제목

최근글


공식 사이트 주소 안내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